[단독] '가습기 살균제' 성분 LG생활건강 물티슈, 9배 더 풀렸다...사업 철수 / YTN

2022-09-18 16

'가습기 살균제' 성분이 나와 회수 명령이 내려진 LG생활건강 물티슈가 기존에 알려진 양보다 무려 9배 넘게 시중에 풀린 것으로 YTN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LG생활건강 측은 전량회수를 하고 있지만, 이미 대부분 팔리거나 써버려서 10분의 1도 회수하지 못한 상태인데 올해 안에 물티슈 사업을 접기로 했습니다.

이준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7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회수 명령을 받은 LG생활건강 '베비언스 온리7 에센셜 55' 물티슈입니다.

검출됐던 살균 보존제인 MIT/CMIT은 몸에 닿으면 염증과 알레르기를 일으킵니다.

이런 이유로 지난 2012년부터 법적으로 화장품과 생필품에 못 쓰도록 하고 있습니다.

'가습기 살균제 참사'의 핵심 물질이기도 합니다.

LG생활건강은 식약처 회수명령을 뒤늦게 공지한 데다가 회사 홈페이지에서 숨기려 한 정황이 YTN 보도를 통해 알려지기도 했습니다.

보도 이후 LG생활건강은 제품을 '전량 회수'하겠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원인을 파악해보니 문제는 일련번호 한 개, 생산설비 한 개에서 일어났지만 소비자에 대한 도리를 다하기 위해 자진해서 결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즉각적이고 대대적인 조치처럼 보이지만 전량 회수라는 말엔 많은 부분이 빠져 있었습니다.

YTN이 인재근 의원실을 통해 확보한 자료를 보니 사실은 유해물질이 들어간 물티슈가 식약처 회수명령을 받은 7,920개의 9배가 넘었던 겁니다.

조사 결과 중국업체가 설비를 청소하다가 묻힌 채 납품한 '부직포'가 검출 원인이었습니다.

LG생활건강 물티슈를 위탁 제조한 업체는 오염된 부직포 한 롤을 다 썼는데 이렇게 만든 물티슈가 7만6천여 개로 조사됐습니다.

알려진 것의 9배 이상 생산·유통된 오염 물티슈는 얼마나 회수할 수 있을까?

문제의 제품은 지난해 11월 생산됐는데 회전 주기가 한 달에서 석 달인 물티슈는 이미 대부분 팔리고 사용됐습니다.

식약처 명령받은 제품 7,920개 가운데 회수된 건 161개에 불과했고, 이마저도 소비자가 신고해서 회수한 건 단 1개뿐이었습니다.

나머지는 업체가 보관하고 있던 물량을 돌려받은 거였습니다.

전량회수 결정 뒤로도 한 달 동안 전체 회수율이 5%대에 그쳤고 문제 제품에 대한 회수율은 별도 집계조차 되지 않는 상황입니다.

회수 명령을 내렸던 식약처도 문제입니다.

해당 물질이 ... (중략)

YTN 이준엽 (leejy@ytn.co.k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20919071541063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